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들에게 건강한 치아, 행복한 미소를"

[매경춘추] 똑같이 해주세요 - 2024.07.12

2010쯤 만났던 환자와의 일이다.
        치아가 모두 없어서 틀니를 만든 분이었는데 해마다 체크하러 오면 틀니가 너무 좋다고 했다.
        참 드문 일이다.
        지금 틀니가 편하니 이 틀니를 똑같이 만들어달라고 하는데, 다시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만들려면 본도 떠야 하고 사람이 하나하나기성 틀니 치아를 갈고 맞추는 아날로그 방신인데 환자가 요구하는 것처럼 완전 똑같이 만들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틀니를 혹여 분실할까 봐 계속 걱정하고 올 때마다 얘기하길래 마침 내가 디지털 스캐너라는 인식 장비를 가지고 있을 때라 그 스캐너로 본을 얻었다.
        3D 프린팅을 하면 거의 같게 출력해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해서 스캔 데이터를 가지고 미국의 치과병원 3D 프린팅 전문가와 상의를 했다.
        그때는 원하는 프린팅 틀니 출력이 아직 한국에서 심의 통과가 안된 상태라서 우리가 할 수는 없었다.
        그 후 미국에서 환자가 치료 후 가지고 온 틀니를 보니 거의 같았다.
        그분이 좋아하며 마음이 편해졌다고 말하던 기억이 지금도 난다.

        이제는 우리나라가 디지털, 인공지능 치과 치료의 강국이 되었다.
        우리가 멀리 여행을 가서 아침에 일어나보니 틀니가 치아가 없어져 낭패를 보는 일이 없어질 날이 다가오고 있다.
        클릭 몇 번으로 새 틀니가 드론을 타고 뿅 하고 날아올지도 모를 일이다.
        새틀니로 해변에서 이를 드러내고 밝게 웃으면서 가족과 시간을 즐길 수 있다.
        아직 더 디테일하게 해댜 할 일이 많지만 어떻게 이런 치료가 가능해질까?
        틀니 등 보철 치료를 받으려면 여러 번의 치과 방문을 거쳐야 한다.
        각각의 치료과정 모두가 좋은 결과를 위해 중요하다.
        이런 노력을 들인과정과 결과가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저장된다면 전후 비교는 물론 재치료에서는 거쳤던 과정을 줄이거나 생략할 수 있다.
        
        치과에서 안면 자동인식과 맞춤형 디자인, 3D 프린팅 등의 첨단 방식이 접목되고 있다.
        디지털화되는 치과 치료의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가 축적되는 것으로 환자별 상황에 맞는 맞춤형 회복이 더 쉽게 가능해진다는 뜻이다.
        자료가 디지털화되고 방대한 빅데이터로 딥러닝 등 인공지능 치료가 가능해진다.
        이는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가령 앞니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치료 전 이미 최종 치아의 모양과 색을 내 얼굴에 맞춰보며 치료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세계를 선도하는 수준인 우리 치의학과 치과 의료기기 산업이 이런 기술을 이용하여 경쟁 국가와 격차를 벌리기 위해서 칠요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
        안면 정보 등 인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 의료정보에 대해 안전 규제는 필요하지만 적절한 진료와 연구, 교육 목적의 자료 활용에 대해 너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면 관련 기술의 발전이 늦춰질 것이다.
        필요한 지원이 있는지 찾고 과감한 개혁과 더불어 관련된 연구, 산업이 발전하도록 오래된 규제가 없는지 논의가 필요하다.
        교육현장에서도 적용된다면 치과대학 학생 댸부터 디지털 가상 치료에 활용해 경험과 소양을 갖춘 의료인을 배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는 활용으로 인한 우리들의 즐거운 미래를 생각해본다.
        [김성귝 서울대 교수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장]